개요
본 연구소는 1990년 안동대학교 학칙 제5조 부속시설관련 규정에 의거해 부설연구소로 설립되었다. 설립 이래 본 연구소는 안동 및 경북 지역은 물론 한국의 문화 전반을 탐구해왔으며, 특히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지역의 전통문화와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한국 민속과 문화를 연구해왔다. 또한 민속의 전승과 보존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창조적 활용과 모색이 이론과 실천 속에서 종합될 수 있도록 연구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해 왔다. 최근에는 한국 사회 공동체문화의 현대적 활용과 변환 사례에 주목해 시대적 소명에 조응한 연구소의 전환과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민속학연구소의 발전 단계와 새로운 전망>
연구 성과와 수행 사업
마을공동체 민속문화 관련 총서, 연구보고서 간행
- 민속문화의 바탕이 마을문화에 있다는 학문적 자각 속에서 마을문화에 대한 집중적인 현지 조사 연구를 통해 인문적 가치를 조명하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해왔다. 주요 연구과제를 마을문화로 설정하고 정기적인 마을공동체문화 조사 연구성과와 역량을 축적해왔다. 또한 마을문화와 마을민속 연구방법론 모색을 위한 정기 세미나를 진행하고 이를 연구서 및 논문집의 형태로 출간하였다.
- 마을공동체 민속문화와 관련 마을공동체문화 총서가 20여 권 간행되었고 안동민속박물관과 협력하여 안동지역 마을공동체 민속문화 총서를 발간해오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아카이브 구축, 박물관 전시, 마을공동체 민속콘텐츠에 관한 연구를 진척시키고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이론적인 수준에서는 조사연구방법론, 전승지식, 사회자본, 지역인문학(local humanities) 등과 관련된 성과를 생산해 왔으며 이를 종합해 연구 논문집과 학술총서 등을 발간해왔다.
간행물 목록
- 마을문화 현지조사 연구보고서: 『까치구멍집 많고 도둑 없는 목현마을』, 『반속과 민속이 함께 가는 현리마을』, 『줄당기기와 길쌈이 유명한 청운마을』, 『농사짓다 고기 잡는 창포마을의 민속』 등 약 40여 권의 연구 결과물 발간
- 마을민속 연구방법론 연구서 및 논문집:『마을민속조사 어떻게 할 것인가』, 『마을민속보고 어떻게 할 것인가』, 『마을민속전승 어떻게 할 것인가』, 『마을민속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마을민속비교 어떻게 할 것인가』, 『마을민속자원화 어떻게 할 것인가』, 『마을민속아카이브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사업 국책과제 주관, 광범위한 공동체문화의 조사와 연구 진행
2008년부터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사업 국책과제를 주관하면서 6년간 전국적인 범위에서 지역별로 연구팀을 구성하여 국내 전 지역의 공동체문화 연구를 수행하고, 4년간에 걸쳐 해외 동포 거주지역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결과로 10여 권의 조사 연구 성과가 간행되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인터넷과 스마트폰 앱을 통해 쉽게 관련 자료를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래학으로서 공동체문화 연구의 패러다임 정립과 활용'이라는 주제로 인문사회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수행
본 연구소는 2018년 9월부터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 수행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 공동체문화의 현대적 활용 또는 변환의 사례들에 주목하여, 미래 비전과 지식자원으로써 그 활용 가치를 모색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현대 한국사회의 시대적 소명에 조응한 연구소의 전환과 도약을 시도하고자 한다. 2021년 9월에는 지난 3년간의 1단계 ‘공동체문화 운동의 패러다임 분석과 연구 활용 방안 모색’ 연구 수행(2018.9.1~2021.8.31.)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2단계 ‘공동체문화 연구 패러다임의 미래학적 구상과 활용체계 구축’연구 수행에 진입했다. 본 연구소는 대안지식으로서 공동체문화 현장의 실천양상을 제 분석하며, 공동체문화의 실천을 작동시키는 현장의 패러다임이 공동체문화의 이론적 현상과 융합․전환되어 구축되는 새로운 공동체문화의 패러다임을 모색․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래사회 대안과 활용의 측면에서 민속학적, 인문학적 연구의 새로운 모델을 구축할 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국학진흥원, 국립민속박물관 등 유관기관과 연계한 통합적인 DB 구축 및 공유 시스템을 개발
- 대표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한국국학진흥원, 누리미디어와 함께 디지털 하회마을(http://hahoe.ugyo.net)을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