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활동
학술활동
학술활동 > 학술총서 > 경북의 전통마을
경북의 전통마을
경북의 전통마을


1. 까치구멍집 많고 도둑없는 목현마을(한국학술정보, 2002)

 

[머리글] 목현 마을의 두 신화: “유래를 자꾸 묻는데 유래를 다 몰래!

 

[1] 마을의 역사와 사회구성

평해 황씨 동성마을 목현의 입지와 모듬살이 ― 조정현

목현 마을, 350년의 역사와 변화 ― 임세권(안동대학교 사학과 교수)

목현 마을의 혈연의식과 마을생활 ― 이상현(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

목현마을과 길, 그리고 사람들 ― 임재해(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장)

 

[2]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그리고 민속 신앙

세시풍속과 일년의 살림살이 ― 김명자(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

정월 ‘노달기’의 제의와 놀이 풍속 ― 임재해

용단지가 두드러진 가신신앙 ― 김명자

일생의례와 제사전통의 지속과 변모 ― 천혜숙(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

혼례 이야기 주고 받기 ― 임재해

 

[3] 일과 놀이 그리고 여가 생활

목현마을 주민의 일과 여가 ― 김명자

대목재의 옛놀이들 ― 한양명(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

사진과 함께 보는 이장님네 고추모종 붓기 ― 김재호

일의 고난, 일의 신명 ― 임재해

 

[4] 까치구멍집과 의식주생활의 전통

마을의 모듬살이와 까치구멍집의 특성 ― 정명섭(상주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곽동엽(대진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목현마을에 까치구멍집이 많은 까닭 ― 배영동

까치구멍집의 공간 이용과 변화 ― 강병극

부녀자들의 삼베길쌈 전통의 재창조 ― 배영동

일생의례의 과정과 식생활의 전통 ― 허성미(안동과학대학 식품과학과 교수)

 

[5] 전승되는 노래와 이야기

길쌈노래와 자장가의 세계, 그리고 사랑 노래 ― 임재해·김유희

잘난 인물의 일화와 예사 사람들의 민담 ―임재해·김재중

 

[6] 생활사 이야기, 어제와 오늘

살아온 이야기 구술자료 ― 임재해

달라지는 사회, 변화되는 풍속 ― 임재해

2. 반속과 민속이 함께 가는 현리마을(한국학술정보, 2003)

 

[머리글] 두 문화의 전통이 꿋꿋한 현리마을: “양반 밖에 몰래요, 양반이 밥 먹여주는 긑애요.

 

[1] 마을의 역사와 사회구성

현리의 입지와 마을 경관 ― 손재완(안동대 국학부 강사)

현리의 형성과정과 문화유산 ― 엄원식(문경석탄박물관 학예사)

현리 사람들의 혈연의식과 사회생활 ― 이상현(안동대 국학부 교수)

현리의 가족과 친족생활 ― 김미영(안동대 국학부 강사)

반계서당(磻溪書堂) 문서 ― 배영동(안동대 국학부 교수)

 

[2]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그리고 민속신앙

현리 사람들의 세시풍속과 여성들의 생활 ― 김명자(안동대 국학부 교수)

현리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화 ― 조정현(안동대 국학부 강사)

혼례 이야기 주고받기 ― 임재해(안동대 국학부 교수)

개기선조 양애공 가을향사 ― 배영동

제사상차림과 헌작의 전통 ― 조정현

현리의 마을공동체 신앙 ― 안태현(문경새재박물관 학예사)

사진으로 보는 현리의 동고사 ― 한양명(안동대 국학부 교수)·조정현

현리 사람들의 가정신앙 ― 김명자

 

[3] 여성들의 시집살이와 생활운동

현리 여성들의 혼인과 시집살이 ― 천혜숙(안동대 국학부 교수)

현리, 여성, 1968년 ― 한양명

()이 귀한 현리 인천 채씨 종가이야기 ― 김미영

여성들이 살아온 삶의 틈새 ― 배영동

사진으로 보는 미동댁의 생애와 일생의례 ― 조정현

 

[4] 의식주생활과 농업생산의 전통

한 지붕아래 두 채로 구성된 현리의 집들 ― 정명섭(상주대 건축공학과 교수)·곽동엽(대진대 건축공학과 교수)

현대 건축에 적용된 전통 이미지 ― 배영동

현리의 식생활과 의례음식 ― 허성미(안동과학대 식품과학과 교수)

농업생산의 전통과 변화 ― 배영동

 

[5] 전승되는 노래와 이야기

풍부한 앞소리꾼의 메김소리와 민요 전승의 한계 ― 임재해·김유희

전설적 역사 인식과 두 갈래의 신화적 사유 ― 임재해

 

[6] 생활사 이야기, 어제와 오늘

살아온 이야기 구술자료 ― 임재해

어제의 풍속, 오늘의 현실 ― 임재해

현리의 2002년 일지 ― 채종선(봉대어른)

3. 줄당기기와 길쌈이 유명한 청운마을(한국학술정보, 2004)

 

[머리글]

 

마을의 역사와 사회구성

세시풍속과 민속신앙

여성들의 생애와 일생의례

의식주 생활의 전통

전승되는 노래와 이야기

이야기로 듣는 생활사 구술자료

4. 농사짓다 고기 잡는 창포마을의 민속(민속원, 2008)

 

[발간사]

 

[1] 마을 개관과 역사

농촌에서 어촌으로 변한 창포마을 ― 배영동(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교수)

창포마을의 역사 ― 강윤정(안동독립운동기념관 학예연구실장)

 

[2] 마을 사람들의 생업

해촌(海村)의 농업 ― 김재호(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창포마을의 어업 ― 권삼문(구미시 학예연구사)

 

[3] 의식주 생활

창포마을 사람들의 해사와 해사복(海事服) ― 손우승(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강사)

창포마을 식생활의 양상과 변화 ― 배영동(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교수)·김재경

창포마을의 가옥과 주거생활 ― 손대원(국립민속박물관 연구원)

 

[4] 신앙과 의례, 놀이

어촌의 특성 드러내는 생업과 세시 ― 김명자(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교수)

창포마을의 대보름 축제 ― 한양명(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교수)·조정현

창포마을의 가정신앙 ― 김명자(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교수)

매장에서 화장으로 바뀐 상례문화 ― 손대원(국립민속박물관 연구원)

 

[5] 생애사와 설화

구술생애사로 본 마을 여성의 삶과 문화 ― 천혜숙(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교수)

한 남성의 생애를 통해본 개별적 삶과 보편적 삶 ― 김미영(한국국학진흥원 연구원)

창포마을의 설화와 지명유래 ― 조연남·김진형·임재해(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