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활동

학술활동
학술활동 > 학술총서 > 민속학연구소 학술총서

민속학연구소 학술총서

민속학연구소 학술총서


1. 마을민속 연구의 새 지평(민속원, 2010)

 

[머리글] 마을의 생활세계에 터잡은 민속학

 

[1마을민속 연구의 새 시선

마을민속 연구와 인문학문의 길  임재해(안동대학교)

산업화에 따른 마을사회 농업노동형태의 변화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5개 마을 사례  배영동(안동대학교)

생태조건을 고려한 마을민속 새로보기  김재호(안동대학교)

마을에 기반을 둔 외부자에 주목하기신대마을 이주민 유입을 중심으로  구미래(성보문화재연구원)

민속학의 공동체적 마을 인식의 특징과 문제점  이상현(안동대학교)

 

[2마을민속 현상의 전통과 현재

새마을 운동에 따른 동제의 변화  김명자(안동대학교)

안동지역 마을공동체 신앙의 성격과 별신굿의 위상  조정현(안동대학교)

동해안별신굿의 연행요소와 유형  윤동환(고려대학교)

마을의 민요공동체적 전통과 노래문화의 현재  천혜숙(안동대학교)

마을민속 연구의 사각지대의생활 조사연구 방향 모색  조희진(고려대학교)

마을민속에서 산업민속으로 변화되는 일생의례의 연구  김시덕(대한민국역사박물관건립추진단)

2. 구비문학의 전승과 지역성(민속원, 2010)

 

[머리글] 지금이 가장 빠른 현지조사와 지역연구

 

김포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시지은(경기대학교)

정선 지역 민요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이영식(강릉원주대학교)

무주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김월덕(전북대학교)

구례 지역 설화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설화를 중심으로 ― 서해숙(전북대학교)

청송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조정현(안동대학교)

양산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김구한(울산대학교)

제주 지역 무가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강정식(제주대학교)

 

3. 마을 유형과 민속문화(민속원, 2011)

 

[머리글] 마을 유형과 민속문화의 다양성

 

동성마을과 각성마을의 ‘결속과 연대’ 원리 ― 김미영(한국국학진흥원)

마을의 입지유형별 비보풍수의 형태 ― 이영진(경북과학대학)

문경 산북면의 마을 공간구조와 전통가옥 평면에 대한 연구 ― 정연상(안동대학교)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 이건욱(국립민속박물관)

반촌마을 유교식 동제의 특징과 성격: 19세기~20세기 초 충청지역의 산신제를 중심으로 ― 강성복(공주대학교)

마을 유형별 별신굿의 특성 ― 조정현(안동대학교)

전북지역 마을 유형별 마을굿의 전승양상 ― 김월덕(전북대학교)

마을 유형에 따른 여신설화(女神說話) 전승 양상 ― 최명환(세명대학교)

4. 구비문학의 연행양상(민속원, 2011)

 

[머리글] 구비문학의 연행상황과 역동적 생명력

 

구비(口碑)의 가치 재평가를 위한 새로운 연구 ― 조동일(서울대학교)

구술 전승 현장 분석의 시각 전환을 위한 시론 ― 김영희(연세대학교)

화자와 청자의 관계가 이야기판에 미치는 영향 ― 노영근(국민대학교)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김기옥(충남대학교)

구연자의 집단적 이야기 목록 구성방식 ― 조정현(안동대학교)

현지조사 시 설화 구술상황에서의 ‘몰입(flow)’ ― 권은영(전북대학교)

음성군 역사인물담의 전승과 구연 양상 ― 최명환(세명대학교)

나주지역 구비문학의 연행양상 ― 한미옥(전남대학교)

부산시 구비문학의 연행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정규식(동아대학교)

제주무가의 연행양상 ― 강정식(제주대학교)

5. 산촌의 생활과 민속문화(민속원, 2011)

 

[머리글] 산촌 마을의 아름다운 삶

 

산촌마을 공동체의 약화 원인과 지속 요인 ― 임재해(안동대학교)

산촌생활이 갖는 철학적 정조 ― 윤천근(안동대학교)

삼척 산간지역 큰서낭당 소고(小考) ― 김도현(강원대학교)

산간지역 영등신앙의 제의구조와 농신의 성격 ― 강성복(공주대학교)

산촌지역 축제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명분 ― 남성진(진주문화연구소)

풍물 연행주체의 다중성과 극적 재현 ― 박혜영(안동대학교)

『아라리』 사설의 어휘로 살펴본 산촌 ― 이영식(강릉원주대학교)

산촌 민가의 공간배치원리와 전통관념 ― 김재호(안동대학교)

6. 역동적 소통의 현장 이야기판(민속원, 2012)

 

[머리글] 역동적 소통의 현장 이야기판

 

이야기판의 형성과 이야기 연행의 특징 ― 김구한

이야기판의 정서와 상호성 ― 서해숙

이야기판에서의 기억과 라뽀(Rapport) ― 정규식

이야기판 변화 양상의 통계적 고찰 ― 박은영

마을 지배담론의 재생산과 이야기판 ― 권은영

‘유식한’ 화자의 범주와 구연 양상 ― 김기옥

구비전승 조사 현장에서 나타나는 각종 ‘담론 구현의 판’ 변화와 그 문제점에 관하여 ― 허정주

경험담과 현대사회의 이야기판 ― 한미옥

경기동부지역 이야기판의 특징 ― 노영근

제주도 굿밧과 소리왓의 구조적 연구 ― 김헌선

제주무가 조사현장의 현장성 ― 강정식

7.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민속원, 2013)

 

[머리글]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

 

화권(話權)의 안정성이 이야기판에 미치는 영향 ― 김기옥(홍익대학교)

‘남성 토박이 이야기꾼’의 범주 구성과 이질화 양상 연구 ― 김영희(경기대학교)

무안군 이야기꾼의 이야기판 양상 ― 김자현(전남대학교)

경기도 양주 이야기꾼 허영이의 구비전승 세계 ― 김헌선(경기대학교)

산청군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이야기판에 대한 접근방식 ― 박기현(동아대학교)

이야기꾼의 커뮤니티 형성과 아비투스에 따른 이야기의 변이 ― 박지애(경북대학교)

구연 서사물의 치유적 요소에 대한 연구 ― 심상교(부산교육대학교)

영암이야기꾼 백흥운의 이야기판 전승양상과 구성방식 ― 유수영(목포대학교)

일시적 이야기꾼의 이야기 연행 양상과 의의 ― 유형동(중앙대학교)

‘정보 전달형’ 이야기꾼 연구 ― 이화영(전주대학교)

8. 어촌민속의 세계와 어업어촌민속(민속원, 2013)

 

[머리글] 역사의 숨결을 잇는 작업

 

어업민속 연구의 지형과 전망: 어업민속지를 중심으로 ― 권삼문(영남대학교)

어촌의 재인식과 갯벌인식 증진을 위한 연구: 갯살림과 어촌공동체를 중심으로 ― 김준(전남발전연구원)

어촌의 공유자원과 마을굿의 함수관계 ― 조정현(안동대학교)

어경의 시대, 바다 경작의 단계와 전망 ― 송기태(목포대학교)

조기 어로 민속을 통해 본 서해안의 문화적 특징 ― 서종원(단국대학교)

어업활동을 통해 본 경북 동해안지역 어업노동요의 사설과 기능 ― 이중구(안동대학교)

백일도의 생태변화와 내백마을 풍물 전승의 현재 ― 박혜영(안동대학교)

9. 도시마을의 민속문화(민속원, 2014)

 

[머리글] 도시마을은 있는가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 방법 ― 정형호(중앙대학교)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역동성과 진정성 ― 김정하(한국해양대학교)

도시화와 제의 주재집단 ― 이창언(영남대학교)

도시마을에서의 마을신앙 변화 ― 이용범(안동대학교)

서울에서 마을 찾기 ― 권혁희(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의 ‘마을만들기’에 따른 공동체의 형성과 메티스(mētis)의 기능 ― 권봉관(안동대학교 박사과정)

10. 민요와 소리꾼의 세계(민속원, 2014)

 

[머리글]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의 절실성

 

과천 찬우물 소리꾼 임정란(林正蘭, 1943~)과 그 가문의 예술 시대 ― 김헌선(경기대학교)

‘마을 소리꾼’의 위상과 역할 ― 김영희(연세대학교)

여성 소리꾼의 위상 변화와 민요의 전승 ― 박지애(경북대학교)

노동요 상실에 따른 소리꾼의 역할 변화 ― 유명희(한림대학교)

민요 소리꾼과 연행 맥락 ― 이옥희(전남대학교)

무속인 출신 앞소리꾼의 특성과 능동적 시대 적응 ― 조정현(안동대학교)

한국 민요의 시대적 컨텍스트 변모에 따른 소리꾼의 변모 양상과 그 문제점 ― 허정주(전북대학교)

경상도지역 민요에 나타나는 경토리의 변화양상 연구 ― 정서은(경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