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마을민속 연구의 새 지평(민속원, 2010)
[머리글] 마을의 생활세계에 터잡은 민속학
[1부] 마을민속 연구의 새 시선 마을민속 연구와 인문학문의 길 ― 임재해(안동대학교) 산업화에 따른 마을사회 농업노동형태의 변화: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5개 마을 사례 ― 배영동(안동대학교) 생태조건을 고려한 마을민속 새로보기 ― 김재호(안동대학교) 마을에 기반을 둔 외부자에 주목하기: 신대마을 이주민 유입을 중심으로 ― 구미래(성보문화재연구원) 민속학의 공동체적 마을 인식의 특징과 문제점 ― 이상현(안동대학교)
[2부] 마을민속 현상의 전통과 현재 새마을 운동에 따른 동제의 변화 ― 김명자(안동대학교) 안동지역 마을공동체 신앙의 성격과 별신굿의 위상 ― 조정현(안동대학교) 동해안별신굿의 연행요소와 유형 ― 윤동환(고려대학교) 마을의 민요공동체적 전통과 노래문화의 현재 ― 천혜숙(안동대학교) 마을민속 연구의 사각지대: 의생활 조사연구 방향 모색 ― 조희진(고려대학교) 마을민속에서 산업민속으로 변화되는 일생의례의 연구 ― 김시덕(대한민국역사박물관건립추진단) |
| 2. 구비문학의 전승과 지역성(민속원, 2010)
[머리글] 지금이 가장 빠른 현지조사와 지역연구
김포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시지은(경기대학교) 정선 지역 민요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이영식(강릉원주대학교) 무주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김월덕(전북대학교) 구례 지역 설화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설화를 중심으로 ― 서해숙(전북대학교) 청송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조정현(안동대학교) 양산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김구한(울산대학교) 제주 지역 무가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 강정식(제주대학교)
|
| 3. 마을 유형과 민속문화(민속원, 2011)
[머리글] 마을 유형과 민속문화의 다양성
동성마을과 각성마을의 ‘결속과 연대’ 원리 ― 김미영(한국국학진흥원) 마을의 입지유형별 비보풍수의 형태 ― 이영진(경북과학대학) 문경 산북면의 마을 공간구조와 전통가옥 평면에 대한 연구 ― 정연상(안동대학교)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 이건욱(국립민속박물관) 반촌마을 유교식 동제의 특징과 성격: 19세기~20세기 초 충청지역의 산신제를 중심으로 ― 강성복(공주대학교) 마을 유형별 별신굿의 특성 ― 조정현(안동대학교) 전북지역 마을 유형별 마을굿의 전승양상 ― 김월덕(전북대학교) 마을 유형에 따른 여신설화(女神說話) 전승 양상 ― 최명환(세명대학교) |
| 4. 구비문학의 연행양상(민속원, 2011)
[머리글] 구비문학의 연행상황과 역동적 생명력
구비(口碑)의 가치 재평가를 위한 새로운 연구 ― 조동일(서울대학교) 구술 전승 현장 분석의 시각 전환을 위한 시론 ― 김영희(연세대학교) 화자와 청자의 관계가 이야기판에 미치는 영향 ― 노영근(국민대학교)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 김기옥(충남대학교) 구연자의 집단적 이야기 목록 구성방식 ― 조정현(안동대학교) 현지조사 시 설화 구술상황에서의 ‘몰입(flow)’ ― 권은영(전북대학교) 음성군 역사인물담의 전승과 구연 양상 ― 최명환(세명대학교) 나주지역 구비문학의 연행양상 ― 한미옥(전남대학교) 부산시 구비문학의 연행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정규식(동아대학교) 제주무가의 연행양상 ― 강정식(제주대학교) |
| 5. 산촌의 생활과 민속문화(민속원, 2011)
[머리글] 산촌 마을의 아름다운 삶
산촌마을 공동체의 약화 원인과 지속 요인 ― 임재해(안동대학교) 산촌생활이 갖는 철학적 정조 ― 윤천근(안동대학교) 삼척 산간지역 큰서낭당 소고(小考) ― 김도현(강원대학교) 산간지역 영등신앙의 제의구조와 농신의 성격 ― 강성복(공주대학교) 산촌지역 축제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명분 ― 남성진(진주문화연구소) 풍물 연행주체의 다중성과 극적 재현 ― 박혜영(안동대학교) 『아라리』 사설의 어휘로 살펴본 산촌 ― 이영식(강릉원주대학교) 산촌 민가의 공간배치원리와 전통관념 ― 김재호(안동대학교) |
| 6. 역동적 소통의 현장 이야기판(민속원, 2012)
[머리글] 역동적 소통의 현장 이야기판
이야기판의 형성과 이야기 연행의 특징 ― 김구한 이야기판의 정서와 상호성 ― 서해숙 이야기판에서의 기억과 라뽀(Rapport) ― 정규식 이야기판 변화 양상의 통계적 고찰 ― 박은영 마을 지배담론의 재생산과 이야기판 ― 권은영 ‘유식한’ 화자의 범주와 구연 양상 ― 김기옥 구비전승 조사 현장에서 나타나는 각종 ‘담론 구현의 판’ 변화와 그 문제점에 관하여 ― 허정주 경험담과 현대사회의 이야기판 ― 한미옥 경기동부지역 이야기판의 특징 ― 노영근 제주도 굿밧과 소리왓의 구조적 연구 ― 김헌선 제주무가 조사현장의 현장성 ― 강정식 |
| 7.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민속원, 2013)
[머리글]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
화권(話權)의 안정성이 이야기판에 미치는 영향 ― 김기옥(홍익대학교) ‘남성 토박이 이야기꾼’의 범주 구성과 이질화 양상 연구 ― 김영희(경기대학교) 무안군 이야기꾼의 이야기판 양상 ― 김자현(전남대학교) 경기도 양주 이야기꾼 허영이의 구비전승 세계 ― 김헌선(경기대학교) 산청군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이야기판에 대한 접근방식 ― 박기현(동아대학교) 이야기꾼의 커뮤니티 형성과 아비투스에 따른 이야기의 변이 ― 박지애(경북대학교) 구연 서사물의 치유적 요소에 대한 연구 ― 심상교(부산교육대학교) 영암이야기꾼 백흥운의 이야기판 전승양상과 구성방식 ― 유수영(목포대학교) 일시적 이야기꾼의 이야기 연행 양상과 의의 ― 유형동(중앙대학교) ‘정보 전달형’ 이야기꾼 연구 ― 이화영(전주대학교) |
| 8. 어촌민속의 세계와 어업어촌민속(민속원, 2013)
[머리글] 역사의 숨결을 잇는 작업
어업민속 연구의 지형과 전망: 어업민속지를 중심으로 ― 권삼문(영남대학교) 어촌의 재인식과 갯벌인식 증진을 위한 연구: 갯살림과 어촌공동체를 중심으로 ― 김준(전남발전연구원) 어촌의 공유자원과 마을굿의 함수관계 ― 조정현(안동대학교) 어경의 시대, 바다 경작의 단계와 전망 ― 송기태(목포대학교) 조기 어로 민속을 통해 본 서해안의 문화적 특징 ― 서종원(단국대학교) 어업활동을 통해 본 경북 동해안지역 어업노동요의 사설과 기능 ― 이중구(안동대학교) 백일도의 생태변화와 내백마을 풍물 전승의 현재 ― 박혜영(안동대학교) |
| 9. 도시마을의 민속문화(민속원, 2014)
[머리글] 도시마을은 있는가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 방법 ― 정형호(중앙대학교)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역동성과 진정성 ― 김정하(한국해양대학교) 도시화와 제의 주재집단 ― 이창언(영남대학교) 도시마을에서의 마을신앙 변화 ― 이용범(안동대학교) 서울에서 마을 찾기 ― 권혁희(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의 ‘마을만들기’에 따른 공동체의 형성과 메티스(mētis)의 기능 ― 권봉관(안동대학교 박사과정) |
| 10. 민요와 소리꾼의 세계(민속원, 2014)
[머리글]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의 절실성
과천 찬우물 소리꾼 임정란(林正蘭, 1943~)과 그 가문의 예술 시대 ― 김헌선(경기대학교) ‘마을 소리꾼’의 위상과 역할 ― 김영희(연세대학교) 여성 소리꾼의 위상 변화와 민요의 전승 ― 박지애(경북대학교) 노동요 상실에 따른 소리꾼의 역할 변화 ― 유명희(한림대학교) 민요 소리꾼과 연행 맥락 ― 이옥희(전남대학교) 무속인 출신 앞소리꾼의 특성과 능동적 시대 적응 ― 조정현(안동대학교) 한국 민요의 시대적 컨텍스트 변모에 따른 소리꾼의 변모 양상과 그 문제점 ― 허정주(전북대학교) 경상도지역 민요에 나타나는 경토리의 변화양상 연구 ― 정서은(경북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