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활동
학술활동
학술활동 > 학술총서 > 안동의 마을민속
안동의 마을민속
안동의 마을민속


1. 전통과 혁신의 마을 내앞(민속원, 2013)

 

[머리글] 인물과 자연이 어우러진 빼어난 모듬살이

 

[1] 마을개관

마을의 역사와 변화 ― 강윤정

마을의 경관과 풍수 ― 조정현

인물과 사상 ― 김명균

 

[2] 사회조직과 참여활동

사회조직과 사회활동 ― 조정현

구국활동과 교육활동 ― 강윤정

 

[3] 의례와 여가 생활

마을의 일생의례 ― 김미영

마을의 세시풍속 ― 조정현

민속신앙과 종교활동 ― 조정현

민속놀이와 여가문화 ― 이영배

 

[4] 구비전승의 전통

유래와 전설의 전승 ― 임재해

노래와 가사의 전통 ― 임재해

 

[5] 생업과 의식주 생활

농경과 생업활동 ― 조정현

의식주생활의 전통 ― 박선미

2. 전통과 역사의 마을 조탑(민속원, 2014)

 

[머리글] 민족 문화사의 현장 조탑마을

 

[1] 마을 개관

마을의 역사와 경관 ― 조정현·윤재혁·박경희·신명진

인구와 세대 구성 ― 조정현·윤재혁

 

[2] 사회 조직

열린공동체를 지향하는 조탑리의 사회 조직과 사회 생활 ― 이상현·김규필

 

[3] 의례와 세시풍속

일생의례의 전통과 변화 ― 이용범·원아름·김지선

옛것과 새것의 조화를 통해 재탄생한 마을의 세시풍속 ― 이용범·최지호

 

[4] 신앙과 여가 생활

세 마을이 함께 제사를 모시는 당제와 용제 ― 이용범·변윤희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주민들의 신앙생활과 그 변화 ― 이용범·강종원

농촌 노인의 여가에 관한 소묘 ― 한양명·이성민

 

[5] 구비전승의 전통

지명유래와 전설의 전승 ― 임재해·이윤서·김준수

민요 전통의 지속과 변화 ― 임재해·한지현·강선일

마을 사람들의 생애 경험과 기억 ― 천혜숙·권희주·공다해

 

[6] 생업활동과 의식주생활

송양천 흐름에 따라 변화해온 생업 ― 김재호·이정훈

길쌈과 옷 짓기의 전통과 기성복 수용 ― 배영동·장수영

일상음식과 잔치음식의 구성과 변화: 20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 배영동·장명선

마을 및 가옥의 공간 구성 및 구조 ― 정연상

 

[7] 권정생과 조탑마을

탑마을 이야기꾼의 민속 세계 ― 이영배

귀환과 월경(越境), 권정생에 대한 기억의 둘레 ― 이영배

3. 전통과 상생의 산촌마을 신전(민속원, 2015)

 

[머리글] ‘은거지’이자 ‘반서울’의 섶밭마을

 

[1] 마을 개관

마을의 역사와 경관 ― 조정현·이정훈

주민구성과 마을운영 ― 이진교·정은지

 

[2] 사회 조직

공생을 지향하는 마을의 사회조직 ― 이상현·김규필

 

[3] 일생의례와 종교생활

일생의례의 전통과 변화 ― 이용범·강혜선·노영미·변윤희

다양성의 조화가 두드러지는 종교생활 ― 이용범·김지현

 

[4] 세시풍속과 마을축제

세시풍속의 변화와 축제의 동향 ― 한양명·권봉관·최지호

 

[5] 놀이 문화

놀이문화의 기억과 현재적 양상 ― 이영배·강석민

 

[6] 구비전승의 전통

지명유래와 전설로 읽는 주민들의 민중의식 ― 임재해·강선일

민요의 기능별 전승양상과 소리판의 상황 ― 임재해·이정욱

생애담으로 본 마을 공동체의 경험, 기억, 문화 ― 천혜숙·김정화·공다해

 

[7] 생업활동과 의식주생활

담배에서 사과로 바뀌어 온 환금작물 중심의 생업 ― 김재호

삼베길쌈과 손바느질의 습득 양상과 의미 ― 배영동·강종원

일상음식의 구성과 식음방식 변화 ― 배영동·김지선

주거 공간과 살림집 ― 정연상

4. 천지갑산이 굽어보는 마을 송제(민속원, 2015)

 

[머리글] 고을 역사를 간직한 송제마을의 전통과 변화

 

송제마을의 공간과 경관 ― 이진교

시간의 상징들과 기억의 장소들 ― 이영배

송제마을의 사회조직과 마을 운영의 양상 ― 이상현

생애 구술로 본 일생의례의 경험과 기억 ― 천혜숙

당제가 중심이 되는 종교생활 ― 이용범

시간문화의 전통과 현재, 그 존재 양상과 실천의 의미 ― 이영배

지명유래와 설화적 상상력에 갈무리된 마을문화의 세계 ― 임재해

민요 전통과 노래문화 ― 조정현

산골 오지마을에서 명품 사과산지로 ― 김재호

20세기 후반 송제마을의 일상음식 변천사 ― 배영동

마을의 공간 구조와 주거 공간 ― 정연상

5. 전통과 조화의 큰 마을 금소(성심, 2016)

 

[머리글] 문화적 전통이 상하 조화를 이룬 마을

 

마을의 역사와 문화 경관 ― 임재해

인구 특성과 사회조직 ― 이진교

금소천 강변 너른 들의 벼 생산과 대마 재배 ― 김재호

세시풍속으로 본 동성마을의 상생과 연대 ― 강선일

종교생활의 전통과 변화 ― 이용범

편싸움의 기억, 역사의 마멸과 풍화 ― 이영배

일생의례의 전통과 변화 ― 이용범

구전되는 유래와 설화로 읽는 마을문화 ― 임재해

안동포 길쌈과 삼베옷의 위상 ― 배영동

마을의 공간 구조와 가옥의 구조적 특성 ― 정연상

육류 음식의 조리법과 식용문화 ― 박선미

6. 심씨 할매와 삼베, 농요의 마을 저전(성심, 2017)

 

[머리글]

 

마을의 역사와 경관 ― 이진교

저전리의 인구와 사회조직 ― 이상현

청동기 시대 저수지가 있던 저전리의 생업 ― 김재호

집에서 집밖으로 나가는 일생의례 ― 이용범

종교생활의 약화와 지속 ― 이용범

세시전통의 변환과 풍속의 공연화 ― 이영배

농촌 주민들의 여가 방식과 경험 ― 이은정

구비문학으로 읽는 마을의 역사와 문화 ― 강선일

사진으로 보는 복식문화의 변천 ― 배영동

저전리 식생활 양상과 변화 ― 박선미

마을의 공간구조와 주거공간 ― 정연상 

7. 마곡서당과 당고사의 마을 사신(성심, 2019)


[머리글]

 

마을의 역사와 경관 ― 이진교(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안진수(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박사과정)

자연마을을 조화롭게 운영하는 사회조직 ― 이상현(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과수 농사에서 약초 재배로 변화해온 산촌 농업 ― 김재호(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강사)

세시풍속의 전통과 변환 ― 강석민(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연구원)

종교생활의 과거와 현재 ― 이용범(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농촌사회의 놀이와 여가 방식 ― 이은정(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강사)

일생의례의 전통과 변화 ― 이용범(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설화와 생애담 ― 신호림(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여성 지도자의 앨범으로 보는 복식문화 변천 ― 배영동(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최유정(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박사과정)

식량부족 시기 식생활 양상과 변화 ― 박선미(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연구교수)

마을의 공간구조와 주거 공간의 실 구성 ― 정연상(안동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8. 수몰을 거슬러 역사를 사랑하는 마을 원천(민속원, 2020)

 

[머리글] 장강(長江)의 물결과 마을의 영원성(永遠性)

 

마을의 역사와 경관 ― 강윤정(안동대학교 사학과 교수)

원천리의 문중조직과 친족 활동의 특징 ― 이상현(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세시풍속의 전통과 변환 ― 강석민(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연구원)

마을 공동체 제의의 과거와 현재 ― 이용범(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옛 원촌의 축제와 놀이 ― 한양명(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

원천마을 여성들의 일상과 여가 ― 한정훈(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연구교수)

원천 마을과 전설 ― 신호림(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일상음식과 잔치음식 문화의 전통 ― 박선미(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연구교수)

마을의 공간 구조와 주거 공간의 특성 ― 정연상(안동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이육사 문학과 고향 원촌마을 ― 안상학(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