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1권 1호 투고 안내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는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제1권 제1호(2020년 3월 30일 발간)에 게재할 논문을 모집합니다.
연구소는 민속연구의 계승과 저변 확장을 위해 ‘공동체문화’를 새롭게 의제화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동체문화는 현대사회에서 여러 양상으로 재현⋅변환되고 있는 민속의 다양성을 담고 있으며, 시대와 생활의 급변 속에서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생성되는 민속의 현재성과 대안의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는 공동체문화를 민속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삼고 학술적으로 심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공동체문화 관련 인문(사회)학 분야(민속학, 인류학, 문학, 철학, 역사학, 문화연구/이론 등 기타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의 다양한 학문적 교류를 기대합니다. 이를 통해 공동체문화의 다양한 관점과 입장, 연구와 비판, 현장과 이론 등을 융합하는 학술의 장을 마련하고 공동체문화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하고자 합니다.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1권 1호의 기획 주제는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입니다. 이번 창간호에서는 공동체문화의 포괄성과 역동성 및 현재성을 다양한 시각에서 담아보고자 합니다.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라는 주제가 서로 다른 관점과 입장을 통해 다학문적인 의제이자 논쟁적인 대상으로 접근되길 희망합니다.
기획 주제뿐만 아니라 문화 일반과 관련한 학제 간 연구논문도 투고 받고 있으니, 관심 있는 연구자 여러분의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논문의 작성은 첨부된 <논문 투고 요령>을 참조하셔서 작성해주시고 다음의 투고 안내에 따라 옥고를 기한 내에 투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투고
- 투고 마감일: 2021년 2월 21일 (일) 18:00 까지
- 투고 작성양식: 첨부한 <논문 투고 요령>의 ‘원고의 작성’ 참조
- 투고 자격: 첨부한 <논문 투고 요령>의 ‘투고자격’ 참조
- 투고 방식: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웹메일(folkedit@anu.ac.kr)을 통한 투고
- 논문 투고 시 저작권이양동의서, 연구윤리서약서, KCI문헌유사도 검사결과서도 함께 제출
2. 게재료 및 심사료
- 투고 논문에 대한 ‘심사료’와 ‘게재료’ 없음
-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대해서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함
연락처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편집부 folkedit@anu.ac.kr / 054-820-6816~7